OSI 7Layer(OSI 7계층)은 프로토콜을 기능별로 나눈 것이다.

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만을 이용하고,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한다.

 

사용하는 이유

  • 흐름을 한눈에 파악하기 쉽다.
  • 문제 발생시 어떤 계층이 문제가 발생한지 파악할 수 있다.
  • 각 계층이 독립적인 역할을 가지고 있어 다른 계층을 건들이지 않고 고칠 수 있다.

물리 계층(1 Layer, Physical Layer)

  • 비트 0, 1 의 통신 단위로 통신한다.
  • 하드웨어 전송기술
  • 통신케이블(LAN), 허브등

데이터 링크 계층(2 Layer, Data Link Layer)

  • MAC[물리주소]주소가 해당
  • Point to Point(신뢰성 있는 전송)
  • Frame[단위]
  • 스위치, 브릿지등

네트워크 계층(3 Layer, Network Layer)

  • IP주소가 해당
  • Packet[단위]
  • 라우터, IP공유기 등

전송 계층(4 Layer, Transport Layer)

  • End to End(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데이터를 주고 받음)
  • TCP(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, 3-way handshaking)
  • UDP(비연결형 프로토콜, 데이터를 빠르게 전송에 초점을 둠)
  • segment[단위]

세션 계층(5 Layer, Session Layer)

  • 데이터를 만듬.
  • 동시 송수신 방식(duplex), 반이중 방식(half-duplex), 전이중 방식(Full Duplex)
  • 체크 포인팅과 유휴, 종료, 다시 시작 과정 등을 수행
  • RPC, Socket등

표현 계층(6 Layer, Presentation Layer)

  • 코드간의 번역.
  • 데이터의 압축, 인코딩 등

응용 계층(7 Layer, Application Layer)

  • 응용 서비스 수행.
  • HTTP , FTP등 프로토콜

OSI 7 Layer 데이터 전송 방식

  • 전송 시 7계층에서 1계층으로 각각의 층마다 인식할 수 있는 헤더를 붙임(=캡슐화)
  • 수신 시 1계층에서 7계층으로 가며 헤더를 떼어냄(=디캡슐화)

추가적으로 TCP/IP Protocol이 있습니다. 기능적으로 OSI 7Layer와 같지만 달리 4계층으로 나눠집니다.

 

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(Network Interface)

  • 네트워크 엑세스(Network Access)계층이라고도 부름
  • 유선(이더넷), 무선(Wi-Fi), PPP등
  • 같은 네트워크 안에서 데이터를 전송
  • OSI 7Layer에 1Layer(물리 계층)과 2Layer(데이터 링크 계층)이 해당

인터넷 계층(Internet)

  • 네트워크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
  • End to End 통신
  • IP(End to End 통신에 이용), ICMP, ARP 등
  • ICMP, ARP(IP -> MAC) 는 IP를 도와주는 프로토콜
  • OSI 7Layer에 3Layer(네트워크 계층)이 해당

전송 계층(Transport)

  • 데이터를 적절한 애플리케이션에 배분
  • TCP, UDP 프로토콜
  • 데이터 분할 및 조립 등도 수행
  • OSI 7Layer에 4Layer(전송 계층) 해당

응용 계층(Application)

  •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의 형식과 처리 절차 등을 결정
  • 문자와 이미지 등의 데이터를 표시
  • HTTP, SMTP, DHCP, DNS등이 해당
  • OSI 7Layer에 5Layer(세션 계층), 6Layer(표현 계층), 7Layer(애플리케이션 계층) 해당

+ Recent posts